exocad를 사용하다 보면 얘기치 못한 상황이나 에러로 인해서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럴 경우 약간의 trick를 활용하면 처음부터 작업하지 않더라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exocad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첫 번째로 스캔작업에서의 작업자의 실수에서 오는 오류나 스캔데이터 편집 오류가 가장 많고, 두 번째로는 챠트작성 과정에서 작업자의 이해 부족에서 오는 작성 실수 등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작업과정 중 치식의 변경이나 보철물의 얘매한 위치관계로 인한 문제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문제 없이 처음부터 병합까지 잘 마무리 하면 좋겠지만, 여러 사람들이 작업을 진행 하거나, 거래처의 요구, 작업과정 중의 작업변경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작업 중에 문제가 발생하고 고민 할 때가 많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많이 생기게 됩니다.
아래의 내용은 2804매거진 7,8월호 합본에 게재될 내용입니다.
Provisional 폰틱에 라이브러리 적용하기

그림1 42 x x 32 PMMA Case
Provisional 크라운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보면 케이스에 따라서 원래 치아 그대로 작업을 진행하거나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불러와서 활용하는 방법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기존의 치아 그대로 작업을 진행 할 경우에는 크게 문제점들이 없겠지만, 기존의 치아를 여러 가지 이유에서 사용하지 못할 경우 특히나 그 치아가 폰틱을 경우(Provisional 폰틱)에는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불러 올 수가 없습니다.
아래의 케이스를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겁니다. 32번, 42번의 경우 기존 치아 그대로 사용해도 크게 무리가 없겠지만, 31번 41번의 경우처럼 배열 상태가 좋지 않거나 치아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는 기존의 치아 라이브러리를 불러와서 작업하는 것이 결과물도 좀 더 좋게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그림1).
기본적으로 위의 케이스처럼 양쪽 지대치에 폰틱이 들어가는 케이스를 진행 할 경우 그림4과 같이 챠트를 작성하고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림4 처럼 작업 진행을 하게 되면 폰틱이 있는 부분은 그림2에서 치아 라이브러리 활용하여 크라운 디자인을 선택해도 그림3처럼 기존의 라이브러리가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그림2

그림3

그림4

그림5
이럴 경우에는 일단 그림5와 같이 4개 치아모두를 Provisional 크라운으로 선택해서 챠트를 작성하고 치아 라이브러리 활용하여 크라운 디자인을 선택하고 작업을 끝까지 진행합니다.
31번, 41번이 원래 폰틱이지만, 지대치라고 가정을 하고 작업을 끝까지 진행합니다(그림6, 그림7).

그림6

그림7
그리고 난 후 31번 41번 지대치 부분을 폰틱으로 바꾸어 주는 작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31번 41번 베이스 부분에서 그림8, 그림9와 같이 메쉬 데이터 수정을 통하여서 선택하고 삭제를 진행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선택할 때 단면 선택을 선택하시고 영역을 선택하셔서 삭제를 하시는 겁니다.

그림8

그림9
이렇게 삭제를 하고 나면 내면에 찌꺼기가 남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그냥 진행을 해도 괜찮지만 깔끔하게 작업을 진행하려면 Select by click on surface를 선택하고
찌꺼기 스캔파일을 선택하고 삭제를 하면 깔끔하게 스캔데이터를 정리 할 수 있습니다(그림10, 그림11, 그림12).

그림10

그림11

그림12
폰틱 베이스 부분을 삭제 했으면 이제 전체 선택을 하고 홀 메우기를 진행합니다(그림13, 그림14, 그림15).

그림13

그림14

그림15
홀 메꾸기를 진행했으면 병합된 보철물 외형 수정을 통하여서 깔끔하게 수정을 통해서 마무리를 합니다(그림16).
지대치 마진 테두리 모양은 정상이나 중간에 볼록 튀어나온 부분은 외형수정을 통해서 적절히 폰틱 모양으로 형성 해 줍니다(그림16).

그림16
병합된 보철물 외형 수정까지 진행했으면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작업이 있습니다.
원래 31번 41번은 지대치였지만 작업자가 임의로 폰틱으로 바꾸었기 때문에 31번 41번 마진정보나 기타 정보들이 제대로 저장이 안 됩니다.
그래서 다시 병합하는 과정에서 그림17과 같은 병합 결과가 나오게 되며 정확한 stl 파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림17
그렇기 때문에 수정 작업을 마친 후 확인을 누르시기 전에 그림18처럼 반드시 스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미리 진행해야 합니다.

그림18
마지막으로 작업한 파일을 STL 파일로 따로 저장을 했기 때문에 이 데이터에는 마진 정보등 대부분의 정보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캠소프트웨어로 불러와서 마진 설정 작업을 다시 해주셔야 합니다(그림 19).

그림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