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ocad를 사용하다 보면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에러로 인해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하지만 약간의 트릭을 활용하면 처음부터 작업하지 않더라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소개할 케이스는 42번, 31번 커스텀 어버트먼트이며 41번, 32번이 폰틱인 경우입니다.
exocad를 사용하다 보면 작업자의 실수로 차트 작성시 42번, 32번을 임플란트 커스텀으로 하거나, 위치관계가 애매한 이유로 작업 중 뒤늦게 위치 관계를 바꿔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케이스가 작다면 처음부터 그냥 다시 하겠지만, 케이스가 크다면 처음부터 다시 작업하기가 조금 망설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처음부터 챠트작성을 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만약 차트 작성시 ‘42 x x 32’ 와 같이 설정했다면 어버트먼트 하부 디자인 작업후 마진이 접합되면서 아래 그림과 같이 마진이 제대로 위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31번 치아와 32번 치아 위치를 바꾸어 배열을 하고 어버트먼트 하부 디자인을 완성하게 되면 치아가 정상적으로 어버트먼트 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커스텀 상부 디자인을 하고 계속해서 상부 보철물까지 진행합니다. 여기까지는 문제없이 진행이 됩니다.
문제는 연결부 작업에서부터 발생하게 됩니다. 31번, 32번 치아의 위치를 임의로 바꾸어 배열을 하고 작업했기 때문에, 연결부 작업 과정에서 정상적인 계산을 하지 못하고 원래는 32번에 있어야 할 31번 치아에 커넥터가 연결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문가(Expert) 모드로 들어가 문제가 되는 연결부를 삭제해 줍니다.
다음으로 31번, 32번과 41번, 42번 2피스로 제작합니다. 두 조각으로 디자인할 때, 인접되어 면으로 닿도록 디자인합니다.
작업을 마무리했으면 두 조각 중 하나를 선택해 STL파일로 저장합니다. 이때 되도록이면 마진 정보가 있는 부분이 연결부와의 거리가 먼 곳에 있는 스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왜나하면 이후 ATT. 기능으로 결합하는 경우, 자유수정으로 수정할 때 ATT. 기능으로 붙인 STL 파일 마진정보는 지워져서 변형의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저장한 STL 파일을 반대쪽 스캔데이터 외형수정 ATT. 기능 (Load from file…)을 통해서 다시 불러옵니다.
그리고 ATT. – Allow any changes 기능을 통해 이전에 저장한 STL 조각과 결합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연결한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해줍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STL 파일로 저장해서 ATT. 기능으로 붙인 부분은 마진정보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유수정을 통하여서 수정할 경우 변형의 우려가 있으므로 마진 주위를 수정 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지난 시간에도 말씀드렸듯이 ATT. 기능으로 원래의 스캔 데이터를 변형, 수정하게 되면 마진정보가 사라지게 되므로 CAM 소프트웨어에서 따로 마진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작업방식을 잘 응용하게 되면, 작업 중 치식변경 없이 치아의 개수를 줄일 수도, 또 늘릴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치아의 위치관계도 바꿀 수 있습니다.